논술고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리논술 이해하기 1. 수리논술 이해하기 (1) 수리논술이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이수하며 습득한 수학 및 과학 지식을 구체적인 사회・자연 과학적 현상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 및 추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 (2) 논술고사의 실시 목적 각 대학에서는 고등학교 교과과정 내에서 학습한 수학, 과학 교과의 지식들을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게 되는 현상이나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대입하고 응용하는 유형들을 주로 출제한다. 따라서 수능 5지선다형에서는 측정할 수 없었던 계획 수립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들을 논술고사에서는 측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논술 점수의 스펙트럼은 수능보다 넓고 촘촘하게 나열된다. 이처럼 논술고사의 목적을 분명하게 숙지하고 대비해야 한다. (3) 출제 범위 자연계 논술고사의 출제 범위는 고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더보기 2021학년도 논술고사 시기 1. 대학별 논술고사 시기 논술전형은 수능 고사일 기준 논술고사 시행 시기에 따라 수능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능 이전보다 이후에 많이 실시하는데, 경쟁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수능 이후에 논술을 실시하는 대학의 경쟁률이 수능 이전에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에 비해 높은 편이다. 2020학년도를 기준으로 수능 이전과 이후에 실시하는 대학을 나누면 다음과 같다. 2020학년도 기준 고사 시기 수능 이전 수능 이후 가톨릭대(의예과 제외),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연세대, 홍익대 가톨릭대(의예과), 건국대, 경북대, 경희대, 광운대, 단국대, 덕성여대, 동국대, 부산대, 서강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세종대, 숙명여대, 숭실대, 아주대, 연세대(원주), 울산대, 이화여.. 더보기 2021학년도 논술전형 내신반영비율 1. 대학별 논술 및 내신 반영 비율 논술전형에서 평가는 논술과 학생부 성적이 주로 적용된다. 그 중에서도 논술 성적이 전체 평가에 주는 영향은 매우 크다. 아래 표와 같이 논술전형에서 논술 성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소 60% 이상이기 때문이다. 이 중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없앤 연세대(서울)에 이어 연세대(원주)가 논술 성적만을 평가에 반영하고, 논술 성적이 차지하는 비중을 홍익대가 60%에서 90% 이상으로, 광운대와 한국기술교대가 60%에서 70% 이상으로, 한국산업기술대가 60%에서 80% 이상으로 각각 반영 비율을 올렸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처럼 논술 성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이상인 대학들의 비중이 증가한 만큼 논술전형은 내신 성적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더라도 충분히 만회가 가능한 전형이.. 더보기 2021학년도 논술 전형 모집인원 1. 2021학년도 대입 모집 인원 현황 수시 모집 유형에서 논술 위주 유형은 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실기 위주 다음에 위치하지만 상위권 주요 대학들은 2021학년도에도 논술 전형을 주요한 선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논술 전형이 있는 주요 대학들의 학생부 교과, 종합 그리고 논술 위주 전형의 모집 인원 및 비율을 나타내면 다음 표와 같다. (단위: 명/%) 구분 전형유형 2021학년도(A) 2020학년도(B) 증감현황(C) (C)=(A)-(B) 모집인원 비율 모집인원 비율 수시 학생부위주 (교과) 146,924 42.3 147,345 42.4 -421 학생부위주 (종합) 86,083 24.8 85,168 24.4 915 논술위주 11,162 3.2 12,146 3.5 -984 실기/실적위주 18.. 더보기 이전 1 다음